이번 업데이트는 분석 흐름의 효율성과 협업 경험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응답 ID 형식을 개선해 데이터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텍스트 AI에서는 분석 전후 맥락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원본 응답 확인 기능을 새롭게 제공했습니다. 또한 설문 설계 중 팀원 간 의견을 명확히 주고받을 수 있는 코멘트 기능이 추가되었고, 시스템 연동을 위한 API도 안정성과 확장성을 강화한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습니다. 복잡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필요한 정보에 더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기능들을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설문 작업 중 실시간 피드백과 협업이 더 쉬워졌습니다
설문을 함께 만들거나 검토할 때, 문항 위에서 바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코멘트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습니다.
각 문항 상단에서 코멘트를 남기고, 스레드 형태로 답글을 이어가며 대화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팀원을 태그하거나, 논의가 완료된 코멘트를 '해결됨'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전체 코멘트 목록에서 상태나 멘션 기준으로 필터링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멘트는 설문 상태와 관계없이 작성할 수 있고, 알림 메일과 링크 공유 기능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지원합니다.
이제 조사 설계 전반에서 협업 속도와 정확성을 높이고, 피드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응답 ID에 ‘id_’ 접두어를 붙여 안정적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Excel에서 긴 숫자형 응답 ID가 자동으로 지수 표기로 변환되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예: 1.23457E+15)
이제 모든 응답 ID 앞에 ‘id_’ 접두어를 붙여, raw data와 응답 탭, 변수 임포트 등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형식으로 로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기존 설문에도 소급 적용되며, 기존에 내려받은 데이터와 비교할 경우 접두어만 추가하거나 제거하면 간단히 매칭할 수 있습니다.
분석 과정에서 ID 손상으로 인한 혼란 없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인 API v3를 제공합니다
고객사 내부 시스템과 데이터스페이스 간의 연동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확장성 높은 대응을 위해 API v3를 새롭게 제공합니다. 인앱 서베이, 응답 데이터 적재 등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조를 전면 정비했습니다.
응답 URL은 기존처럼 별도 API로 일괄 조회하는 방식이 아니라, 응답 정보 조회 API 내에서 개별 응답 단위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응답 데이터에는 이미지와 상세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활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또한, 향후에는 생성 변수나 임포트 변수를 포함한 분석 결과도 API를 통해 조회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분석 | 숫자형 데이터의 X축을 정수 단위로 표현합니다. 선택형 변수는 값 개수에 따라 도넛 차트 또는 바 차트로 자동 노출됩니다.
✅임포트 | 구글 폼은 임포트할 경우, 0~10점 척도 문항을 NPS 유형으로 자동 인식하여 불러올 수 있습니다.
✅편집 | 문항 카드 영역을 확장해 정보 구조를 명확히 하고, 향후 기능 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했습니다.
✅수집 | 수집 중 또는 수집 중지 상태에서도 목표 수집 건수를 조정할 수 있어, 잔여 크레딧을 보다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응답 | 모바일에서 의도치 않게 새로고침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고침 시 확인 알림을 표시합니다.
✅로그인 | Google 계정으로 간편 가입과 로그인을 지원하여, 별도 계정 생성 없이 빠르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